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예고 없는 재난, 홍수! 미리 준비하는 홍수 대비 방법

by sophia26 2025. 4. 17.
안녕하세요.  
요즘 같은 기후 변화 속에서 예상치 못한 집중호우와 갑작스러운 홍수로 인한 피해 사례가 많아지고 있습니다.  
특히 7~8월 장마철, 갑작스러운 폭우로 도심 침수, 반지하 주택 물난리, 하천 범람 등이 반복되고 있죠.

하지만 홍수는 사전에 충분히 대비한다면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재난입니다.  
오늘은 홍수 발생 시 우리 가족과 집을 지킬 수 있는 실질적인 홍수 대비 방법을 소개해 드릴게요!

1. 거주지 위험도 파악하기

- 내가 사는 곳이 저지대인지, 하천 인근인지, 침수 위험 지역인지 미리 확인하세요.  
- 지자체나 행정안전부 홈페이지에서 침수 지도를 확인하면 도움이 됩니다.  
- 반지하·1층 거주자는 더 철저한 대비가 필요합니다.

 

2. 빗물 역류 방지 설치

- 하수도 역류로 인한 침수를 막기 위해 '역류 방지 밸브' 설치가 효과적입니다.  
- 화장실, 싱크대, 욕실 바닥 등에 설치하면 하수 역류를 차단할 수 있어요.

 

3. 문, 창문, 환기구 차수 작업

- 문틈, 창문, 환기구를 통한 물 유입을 막기 위해 모래주머니나 방수 테이프를 준비해 두세요.  
- 창틀 실리콘 보수도 미리 점검하는 것이 좋습니다.

 

 

4. 전기·가스 차단 요령 숙지

- 침수가 예상될 경우, 분전함(차단기)을 내려 전기 누전 위험을 방지해야 합니다.  
- 가스 밸브도 꼭 잠가주세요.
- 전기 제품은 최대한 높은 위치로 옮겨놓고 콘센트 주변은 방수 마감 처리하면 좋습니다.

 

5. 비상용품 준비

- 정전 및 고립 상황을 대비해 손전등, 보조배터리, 라디오, 식수, 비상식량 등을 준비해두세요.  
- 물품은 밀폐용기에 보관하거나 높은 선반에 배치하여 침수 피해를 줄입니다.

 

6. 차량 이동 주의

- 침수 도로는 절대 지나가지 마세요.  
- 특히 하천 근처, 지하차도는 순식간에 물이 차오를 수 있어 매우 위험합니다.  
- 침수 위험이 있는 날은 대중교통 이용을 권장합니다.

 

7. 침수 후 복구 요령 알아두기
- 집 내부 침수 시, 반드시 전기 차단 후 복구 작업을 진행하세요.  
- 배수 작업은 하수구가 역류하지 않는지 확인한 후 진행하고,  
  청소 후에는 곰팡이 방지와 소독도 철저히 해야 합니다.

 

8. 재난 문자와 앱 활용하기

- 국민재난안전포털, 안전디딤돌 앱, 기상청 앱 등을 통해  
  기상특보, 예보, 행동 요령 등을 빠르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 미리 알림 설정을 해두는 것도 좋은 대비 방법이에요.


마무리하며…

홍수는 피할 수 없는 자연현상이지만, 피해는 예방할 수 있습니다  
가벼운 비라고 방심하지 말고, ‘설마’가 아니라 ‘혹시’에 대비하는 습관을 들여야 합니다.  
특히 어린이, 노약자, 반려동물이 있는 가정일수록 더 철저한 대비가 필요하다는 점 잊지 마세요.

홍수가 와도 걱정 없는, 안전한 여름 되시길 바랍니다!